-
결혼 세액공제란? (혼인세액공제)
**결혼 세액공제(혼인세액공제)**는 신혼부부가 결혼할 때 받을 수 있는 세금 감면 혜택을 의미한다. 하지만 한국의 현행 세법상 "결혼 세액공제"라는 직접적인 제도는 존재하지 않는다. 대신, 결혼을 하면 적용될 수 있는 소득공제 및 세액공제 혜택이 있다.
목차
✅ 결혼 후 받을 수 있는 세금 혜택
결혼하면 다음과 같은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.
1. 기본공제 (부양가족 추가 시 공제 가능)
- 결혼하면 **배우자를 부양가족으로 등록할 수 있어 기본공제(연 150만 원)**를 받을 수 있다.
- 배우자의 연 소득이 100만 원 이하(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총급여 500만 원 이하)일 경우 공제 가능.
- 배우자가 소득이 없다면 부녀자 공제, 인적공제 등 추가 세금 혜택도 가능.
📌 예시
✔ 배우자가 소득이 없다면 연 150만 원 기본공제 가능
✔ 배우자가 소득이 적고 부녀자(부양가족) 요건 충족 시 추가 50만 원 공제 가능2. 신혼부부 생애 최초 주택 취득 세액공제
- 결혼 후 생애 최초로 주택을 구입하면 취득세 감면 혜택이 있다.
- 생애 최초 주택 구입 시 200만 원 한도로 세액공제 가능
- 주택 가격이 4억 원 이하(수도권 5억 원 이하) + 부부합산 연 소득 7,000만 원 이하일 경우 적용됨.
📌 예시
✔ 신혼부부가 생애 최초로 3억 원짜리 집 구매 → 취득세 감면 적용 가능3.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 이자 소득공제
- 신혼부부가 전세자금 대출을 받으면 이자 상환액의 40%를 소득공제 받을 수 있다.
- 대상: 총급여 7,000만 원 이하 근로자(근로소득자)
- 최대 300만 원까지 공제 가능
📌 예시
✔ 연봉 6,500만 원 신혼부부가 연 100만 원의 대출 이자를 납부했다면 → 40만 원 세액공제 가능4. 배우자 의료비 및 교육비 세액공제
- 배우자의 의료비, 교육비를 지출하면 **세액공제(공제율 15%)**를 받을 수 있다.
- 단, 배우자가 소득이 없어야 함.
- 의료비는 총 급여의 3%를 초과해야 공제 가능
📌 예시
✔ 배우자 수술비 500만 원 지출 → 15%인 75만 원 세액공제 가능5. 신혼부부 월세 세액공제
- 무주택 신혼부부가 월세를 납부하면 **월세 세액공제(공제율 10~12%)**를 받을 수 있다.
- 연 소득 7,000만 원 이하 & 전용면적 85㎡ 이하 주택 거주 시 가능
- 연 최대 750만 원까지 공제
📌 예시
✔ 월세 50만 원(연 600만 원) → 10% 공제 시 60만 원 세액공제 가능✅ 결혼 후 세금 혜택 정리 (한눈에 보기)
혜택조건최대 공제 금액기본공제 배우자 소득 100만 원 이하 연 150만 원 생애 최초 주택 구입 공제 신혼부부 첫 주택 구입 최대 200만 원 전세자금 대출 이자 공제 연봉 7천만 원 이하, 대출 이용 최대 300만 원 의료비/교육비 공제 배우자 지출액 공제 가능 의료비 15%, 교육비 15% 월세 세액공제 무주택 신혼부부, 월세 계약 최대 750만 원 📌 결혼 후 세금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려면?
✔ 배우자의 소득 상황에 따라 기본공제 및 추가 공제를 확인
✔ 주택 구매나 전세자금 대출이 있다면 세액공제 적극 활용
✔ 월세를 낸다면 세액공제 대상인지 체크✅ 결혼하면 세금 혜택이 많을까?
직접적인 ‘결혼 세액공제’는 없지만, 결혼하면 받을 수 있는 다양한 공제 혜택이 있다.
- 배우자 기본공제
- 주택 구입/전세 대출 관련 세액공제
- 월세 세액공제
- 의료비 및 교육비 세액공제
결혼 후 배우자의 소득 상황, 주택 구입 여부, 전세 대출 여부에 따라 최대한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공제 항목을 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! 💰
'유용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상속세 개편 (0) 2025.04.02 원클릭 환급서비스 (0) 2025.04.01 병역명문가 (0) 2025.03.31 싱크홀 위험지역 (0) 2025.03.29 중고 캠핑용품 구매 및 판매 가이드 (0) 2025.03.26 디딤씨앗통장이란? (0) 2025.03.25 치킨 녹근병이란? (0) 2025.03.24 자전거 하이킹 완벽 가이드 (0) 2025.03.23